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samsung인 게시물 표시

애플 워치 디자인이 묘하게 어색한 5가지 이유

애플의 워치가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예전 발표에 비해 딱히 추가되거나 변한 점은 없는 듯 하네요. 애플 워치의 외형 자체는 단순하면서 완성도 있게 애플의 아이덴티티가 느껴지는 좋은 디자인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볼수록 뭔가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는, 묘하게 신경을 건드리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느낌이 어디서 오는 걸까요? 5가지로 생각해 정리해 봤습니다. 첫번째는 디자인과 기능의 부조화 문제입니다. 1. 부조화 애플 워치의 디자인의 개인적인 느낌은 단연 애플의 아이덴티티를 잘 살리고 있지만 그 성향은 여성적인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여성적인것 자체가 나쁜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기능과의 부조화"를 느끼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 분이라면 좋아하실지도 애플 워치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워치입니다. 스마트 워치의 기능은 패션과는 관련 없는 남성 취향의 기능입니다. 그리고 여성들은 대부분 패션 외에는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 즉 디자인과 기능의 방향이 맞지 않는데, 이것이 어색함을 주는데 일조하는 듯 합니다. 2. 타겟 럭셔리 시계를 사는 가장 큰 이유는 "수트와 매칭하기 위해서" 여성적 디자인이란 점은 또 한가지 큰 잠재적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시장의 부재'입니다. 럭셔리 시계의 시장은 대부분 남성 시계 시장을 말합니다. 여성들처럼 수많은 악세서리로 치장하지 않는(하는 분들도 있지만..) 남성들에게 시계는 대단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패션 아이템입니다.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여성용 럭셔리 시계 시장을 노리는건 얼핏 무모한 전략으로도 보입니다. 3. 전면 디자인 패션으로서의 애플 워치는 이런 모습 또 한가지 디자인적 문제점이 있습니다. 바로 "꺼진 화면"입니다. 애플 워치 또한 스마트 워치이기 때문에 전력을 아끼기 위해, 또는 아몰레드 화면 보호를 위해 화면을 꺼두어야 ...

갤럭시 시리즈는 얼마나 팔렸을까?

클릭 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opensignal.com  에서 안드로이드 기기들의 파편화에 대한 리포트를 공개했습니다. 8월 기준으로 지난 몇달간 Open Signal 앱을 다운받은 기기들을 분석했다고 합니다. 파편화를 파악하기 위한 자료이지만 각 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을 표시해주기 때문에 갤럭시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인포그래픽으로 한번 표시해 봤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왼쪽 파란색 영역에 해당하는 43%가 삼성 갤럭시의 비중입니다. 2,3위와의 격차가 어마어마 하지만 작년의 수치 47%에 비하면 줄어들었다고 하네요. 표시는 주로 프리미엄급과 미니 모델만을 했고 같은 색은 같은 모델이며 너무 작은건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파랗게 남겨져 있는 부분들은 코어, 그랜드 등 기타 인기있는 중저가 모델들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 S4가 S3를 넘어섰다. - 노트시리즈의 판매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 S2보다 S3가 훨씬 더 볼륨 증가에 기여했다. - 근 시일내에 S5가 S4를 넘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 미니 모델들이 의외로 많이 팔렸다. - 삼성의 프리미엄 모델 판매 비중이 아주 높다. - 샤오미의 볼륨은 아직 상당히 작다. 정도가 될 것 같네요. 아참, 그리고 보다보니 타블렛들도 데이터에 포함이 되어있더군요. 삼성 타블렛이 슬금슬금 팔리고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http://opensignal.com/reports/2014/android-fragmentation/  이곳으로 가시면 더 자세히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 기어 공개 - 왜 발전된 시계를 만들지 않았나요?

독일IFA 에서 unpacked 2013 episode 2 행사를 진행하며 갤럭시 노트3, 노트10.1, 그리고 갤럭시 기어를 발표했는데, 상자를 열어 보니 좀 실망스럽지 않나 합니다. 시계가 아닌 리모콘 갤럭시 기어의 모습은 독립적인 스마트워치라는 느낌보다는 갤럭시 시리즈와 연동되는 부가 장치로서의 느낌으로 만든 것 같습니다. 본체에 이어폰을 꽂는 구멍이 없으며, 단지 스마트폰의 뮤직 플레이어를 플레이합니다. 덕분에 디자인이 깔끔해졌습니다만 문제는 디자인이 아니라 기획에 있습니다. 왜 발전된 시계를 만들지 않았을까? 아이폰은 휴대폰을 혁신하여 발전된 형태의 휴대폰을 만든 것입니다. 테슬라 자동차 또한 IT기기를 자동차로 만든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미래형입니다. 그런데 왜 삼성은 스마트워치라고 이름 붙이면서, 발전된 시계를 만들지 않은 것일까요? 시계라는 것은, 시간을 보여준다는 기능적인 측면과 패션 악세서리로서의 두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획 자체를, 시간과 관계된 기능으로 가득 채우고, 패션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쪽으로 갔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카메라가 필요한걸까? 카메라와 뮤직 플레이어를 넣을것이 아니라, 향상된 알람과 스케줄링, 음성 알림, 시간과 연계한 대중교통 서비스, 건강 리듬 어드바이저등의 기능으로 한가득 채웠다면, '시간'을 다루는 장치로서 강한 캐릭터를 갖는 제품이 될 수도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큽니다. 또한 시계는 패션 악세서리로서의 정체성이 강한 만큼, 디자인도 변경이나 선택의 폭이 넓도록 만들었으면 좋았을 것입니다.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해서 DIY디자인 요소를 넣는 방법등 패션으로서도 할 수 있는게 너무나 많은데, 지금 내놓은 제품은 너무 정적인듯 합니다. 역시나 혁신에 서투른 안타까움 물론 세상에 혁신에 익숙한 기업은 몇 되지 않죠. 애플조차도 잡스가 없으니 당장 혁신이 멈춰버릴 정도니까요. 하지만 삼성의 최근...

갤럭시S4에 대한 예측 - 삼성 마케팅의 흐름

갤럭시S4 = 충직한 로봇 좀 더 따뜻하고 충직하고 든든한 기계. 내가 신경쓰지 않아도 나를 바라봐주고 보필해주는  존재. 저는 삼성이 갤럭시S4에 대해 설정한 마케팅 포인트를 이렇게 예측합니다. 니맘대로 그렇냐구요? ^^; 물론 이런 예측이 맞겠습니까만은, 삼성의 마케팅 흐름을 쭉 훑다보니 그런 방향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설명을 해보려고 했는데, 삼성의 마케팅의 흐름에 대해서 먼저 얘기하지 않을 수가 없겠더군요. 그래서 쉽게 시작한 포스팅이 참 길어졌습니다. 열심히 정리를 하긴 했는데 어떨지 모르겠네요. 좋게 봐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삼성이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지를 이야기하는것으로 시작해볼까 합니다. 삼성의 절반은 운이었다? 근래 삼성 제품의 기획력은 놀라울 정도로 발전했지만, 이는 삼성의 노력 절반과 운 절반이 따른 결과라고 생각이 됩니다. 지금의 기획력의 발판이 마련되기 시작한 시점을 생각해보면, 짧게는 갤럭시S3, 조금 길게 보면 갤럭시S2, 더 깊게보면 보르도 TV부터였던것 같습니다. 삼성의 초기 포르.. 아니 보르도TV 보르도TV는 삼성이 TV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한 신호탄적인 성격의 TV입니다. 삼성은 이 보르도TV의 성공으로, '어떻게 보여지느냐'에 대한 시각을 바꾸기 시작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디자이너가 임의로 설정한 것인지 처음부터 기획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당시 분위기로서는 전자로 추정이 되긴 합니다) 보르도의 디자인은 단순한 비주얼이 아니라 '선명한 메타포'를 담았다는 것에 더 의미가 있는 듯 합니다. 선과 형태, 균형, 색만으로 순수하게 쾌감을 주는것보다는 디자인에 담긴 의미로서 성과를 거둘수 있다는 발상인데 현대 미술에서 말하는 개념 미술이라는것의 발상과 많이 비슷한 것 같습니다. 개념 미술가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의 작품 개념 미술의 시작은 마르셀 뒤샹이 '변기를 미술관에 가...

삼성이 갤럭시 S3 미니를 발표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네요.

삼성이 10월 11일 독일에서 신제품을 발표할 것으로 예정이 되어있는데요. 외국의 IT웹진들은 이것이 갤럭시 S3 미니가 아닐까하는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행사 초청장의 내용들이 주는 힌트 때문입니다  초청장 가운데의 큰 S자는 갤럭시S의 로고와 같습니다. 그리고 초청 글귀의 내용 중에는 "큰 도약을 위한 작은 준비", "뭔가 작은", "작은 센세이션을 맞이할 준비가 되었나요?" 등의 힌트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제 생각에도 상대를 치밀하고 신속하게 견제하는 한국 기업의 성격으로 볼 때에도 어느정도 맞는 추측인것 같습니다. 아이폰이 자리잡는것을 훼방놓겠다는 것이겠죠. 사실 우리나라 안에서는 이런 빠른 대응이 제품을 급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품질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하여 좋지 않은 시각으로 바라보았었지만, 최근의 삼성을 보면 마치 미친것처럼 고품질의 제품을 신속하게 쏟아내는 것이, 품질에 대한 걱정은 별로 하지 않게 하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큰 도약을 위한 작은 준비라는 표현이 가진 뜻이 다소 명확히 들어맞지가 않는데요. 단순히 갤럭시S3 미니를 출시하는 것이라면, 그게 어떤 의미로든 큰 도약이 되지는 않을 것 같다는게 좀 미심쩍습니다. 일단 갤럭시 에이스라는 작은 제품이 이미 있는것도 그렇고, 갤럭시S3의 장점이 큰 화면에 있었는데 작은 화면의 갤럭시S3를 내놓으며 큰 도약이라고 표현하는것도 모순적인 느낌이 있습니다. 혹시나 또 예전처럼 범벅이된 라인업으로 집중도를 흐려놓지는 않을지 살짝 걱정이 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