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디스플레이인 게시물 표시

LG 1:1모니터, 데스크탑 모니터의 대세가 될 것.

LG에서 1:1 비율의 모니터 출시 계획과 이미지 샷을 발표했습니다. LG측은 컨텐츠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를 위한 틈새를 노린 제품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소식을 접한 상당수의 전문직 종사자들은 이미 열화와 같은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품을 볼수록 1:1비율이 틈새가 아닌 전체 모니터 시장의 주력 제품 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이 들게하는 이유가 몇가지 있어 한번 적어볼까합니다. 27" 모니터 다음은? 17"->24",27"로 모니터가 커진것은 단순히 화면을 키운것이 아니라 모니터의 활용성을 높이려했던 것이었고 그 방법은 통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문제가 생겼습니다. 27"->30"이상으로 화면을 키우는 것은 시야의 제한에 걸려 오히려 활용성이 높아지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 이 문제를 돌파하기 위해 LG에서는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를 출시했습니다. 좋아.. 좋은데 말이야..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의 참신한 시도는 인정받을만 합니다. 다만 실제로 이 모니터를 보았을때의 느낌은, 상하 폭이 좁음으로 인해 '상당히 작게 느껴진다'라는 것입니다.  또 한가지 문제가 더 있는데, 사람의 시야폭은 가로로 긴 것은 맞지만, 눈 움직임은 상하보다 좌우 움직임에서 피곤함을 더 느낀다는 것입니다. 직접 해보시면 금방 느끼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고개를 움직이면 더 불편할 것이구요. LG의 1:1 모니터는 이런 문제점들을 모두 절충한 제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4:3 모니터가 사장된 이유 정사각에 가까운 모니터는 이미 시장에서 퇴출되었으니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지가 않습니다. 4:3에서 와이드 모니터로 주력 제품이 이동했던 이유는, 단지 사람의 시야가 가로로 더 넓기 때문이 아니라, 사람 시야의 가로폭을 커버할 만큼 큰 4:3 모니터를 만들기가 어려웠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기술도 부족했고, ...

1080p 스마트폰이 꼭 필요한 이유.

애플이 디스플레이에 레티나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익히 알려졌다시피 사람의 눈이 가려낼 수 있는 최소한의 도트크기를 구현했다는 것에 있었습니다. 이것은 갑자기 튀어나온 주장은 아니고, 실제 인쇄물의 디자인을 할때의 표준인 300dpi (dots per inch) 를 근거로 했던 것이죠. 그런데 몇가지 간과했거나, 아니면 레티나라는 이름의 마케팅을 위해 가려졌던 문제점이 몇가지 있어서 짚어보고자 합니다. 1. 도트와 픽셀의 모양 특성 차이 인쇄물의 도트와 디스플레이의 픽셀에는 모양의 차이가 있습니다. 종이에 떨어진 작은 잉크 덩어리를 말하는 것인데, 당연한 것이지만 동그란 모양을 만듭니다. 처음부터 둥근 형태를 띄고 있기에 당연히 곡선의 처리에서 유리하게 됩니다. 2. 인쇄물의 도트 크기는 고정되지 않음 인쇄물의 도트의 크기는 고정되지 않았습니다. 예를들면 회색을 표현할때, 디스플레이에서는 회색의 픽셀을 채워넣지만, 인쇄물에서는 작은 크기의 검정색 점을 찍습니다. 그래서 폰트의 곡선등에서 발생하는 회색의 각진 픽셀이 일으키는 알리아싱 효과를 인쇄물에서는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3. 인쇄물은 한 자리에 여러개의 점을 겹쳐 찍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픽셀은 한가지의 색이 정해지면 그 색 하나만 화면에 찍어내지만, 인쇄물은 한 자리에 잉크를 여러번 떨어트리는게 가능합니다. 예를들면 작은 검정색을 찍고, 그 위에 큰 노란색점을 찍고, 또 중간 크기 빨간색 점을 찍고 하는게 가능합니다. 프린터는 이런 특성을 최대한 이용해서 도트와 도트 사이의 연결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어 낼 수가 있습니다. 4. 300dpi는 사진의 기준이지, 텍스트의 기준은 아니다. 300dpi 텍스트 품질 1200 dpi 텍스트 품질 사실 300dpi로도 인쇄물은 충분한 가독성을 내줍니다만, 300dpi라는 수치가 사진의 기준으로 만들어졌다는 느낌이 다소 있습니다. 물론 점의 모양이나 겹쳐찍기등 아나로그적인 특성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