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아이폰5s인 게시물 표시

아이폰5C, 아이폰5S발표 - 애플 최악의, 최대의 실수.

오늘 아이폰5c와 5s가 시원하게 발표되었습니다. 일단 제품 자체는 두가지 제품 다 루머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게 나온듯 합니다. 이전부터 줄줄이 나왔던 두 제품에 대한 루머와 소식을 듣는동안 이번 애플의 전략 변화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해 짬짬히 생각을 해보았지만 모든것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결과를 예측하기가 좀 어렵더군요. 그래서 이번 키노트를 관심있게 보게 되었는데, 키노트를 보던중 애플이 실수했구나. 하는 생각이 굳어지는 시점이 있었습니다. 바로 아이폰5의 단종 이야기가 나왔을때입니다. 애플은 아이폰5를 단종시키고, 아이폰5c를 아이폰5의 스펙정도로 설정했습니다. 이것은 결국 아이폰5를 아이폰5c로 대체하겠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럴 수도 있겠거니 하고 넘어갈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의도를 깊게 생각해볼 수록 이게 작은 실수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포지셔닝의 문제 어느것을 고를까요? 아예 안고를지도.. 5c의 자기잠식의 문제는 많이들 이야기하는 부분입니다. 휴대폰은 1인이 1대씩만 구입하는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5c를 사는 사람은 5s를 사지 않을것을 상식적으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마케팅 전략에서의 포지셔닝은 이것보다 좀 더 깊은 문제를 이야기합니다. 자기잠식의 문제는 그 제품을 구입했을때의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포지셔닝 전략은 구입 전의 구매자의 심리 상태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한번 그림을 그려봅시다. 휴대폰을 사러 마켓에 갔다고 가정합시다. 진열대에 아이폰5c와 아이폰5s 두가지가 있습니다. 두 제품의 생김새는 비슷해보이고 역할도 비슷해 보입니다. 그 중 하나는 성능이 낮고 재질이 플라스틱인 대신 저렴합니다. 나머지 하나는 성능이 높고 재질이 좋고 비쌉니다. 이 때 구매자는 어떤 생각을 하게될까요? 구매자는 상대적인 생각을 하기 시작합니다. 즉 아이폰5c를 볼때 아이폰5s를 떠올리고, 아이폰5s를 볼때 아이폰5c를 떠올리게 됩니다. 아이폰5c를 보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iOS7, 고정관념을 깬 놀라운 디자인 해결법

iOS7 디자인 공개 WWMC2013에서 iOS7의 디자인이 드디도 공개되었습니다. 출시전부터 큰 디자인 변화를 예고해왔었는데, '흑백의 디자인이 될것이다' 라는 말이 나왔었습니다. 그래서 프라다폰의 디자인과 비슷한거 아니냐, 라는 예상을 하시는 분들도 꽤 있었습니다. 프라다의 UI디자인 이 디자인이 모던하긴하지만, 색이 없어 너무 단조롭다는 문제점과, 또한 아이덴티티가 강하기 때문에 표절이 되는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상당히 들었습니다. 과연 색을 포기할 수 있을까? 라고 생각했는데, 애플은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했네요. 바로 흑백으로 UI를 디자인하는대신 배경에 blur를 넣어서 해결했습니다. iOS7 디자인 개념 이 디자인이 놀라운 점은, 기존 프라다의 UI가 가졌던 한계를 극복했다는 것입니다. 단지 색이 들어가서 이쁘게 보인다는 점 외에도, 디자인 요소로서 검정색과 흰색을 모두 사용할수 있게 했다는 묘수가 있습니다. 컬러배경이 없다면 이런 문제가 생긴다 배경을 흰색으로 한다면, 아이콘이나 기타 UI를 흰색으로 칠할 수가 없게됩니다. 반대로 배경이 검정색이라면 검정색을 디자인 요소로 사용할 수가 없게 됩니다. 배경에 색을 넣으면 된다는 해결책은 얼핏 쉬워 보이지만, 그렇지가 않습니다. 이유는 가독성, 명시성 때문입니다. 실제로 컬러 배경을 배치한것은, 명도 대비측면에서는 회색배경을 설치한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집니다. 이것은, 흰색과 검정색을 모두 디자인 요소로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명암의 대비효과는 당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어, 눈으로 UI요소를 구분하기가 조금 어려워지게 됩니다. 명시성이 떨어지는것은 텍스트에 있어서는 가독성또한 떨어트리는 결과로 나타납니다. 게다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blur배경으로 명시성이 더욱 떨어진다 iOS7의 경우는, 단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단색 배경을 깔은 것이 아니라 아이콘이 있는 배경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