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애플인 게시물 표시

애플 워치 디자인이 묘하게 어색한 5가지 이유

애플의 워치가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예전 발표에 비해 딱히 추가되거나 변한 점은 없는 듯 하네요. 애플 워치의 외형 자체는 단순하면서 완성도 있게 애플의 아이덴티티가 느껴지는 좋은 디자인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볼수록 뭔가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는, 묘하게 신경을 건드리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느낌이 어디서 오는 걸까요? 5가지로 생각해 정리해 봤습니다. 첫번째는 디자인과 기능의 부조화 문제입니다. 1. 부조화 애플 워치의 디자인의 개인적인 느낌은 단연 애플의 아이덴티티를 잘 살리고 있지만 그 성향은 여성적인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여성적인것 자체가 나쁜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기능과의 부조화"를 느끼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 분이라면 좋아하실지도 애플 워치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워치입니다. 스마트 워치의 기능은 패션과는 관련 없는 남성 취향의 기능입니다. 그리고 여성들은 대부분 패션 외에는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 즉 디자인과 기능의 방향이 맞지 않는데, 이것이 어색함을 주는데 일조하는 듯 합니다. 2. 타겟 럭셔리 시계를 사는 가장 큰 이유는 "수트와 매칭하기 위해서" 여성적 디자인이란 점은 또 한가지 큰 잠재적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시장의 부재'입니다. 럭셔리 시계의 시장은 대부분 남성 시계 시장을 말합니다. 여성들처럼 수많은 악세서리로 치장하지 않는(하는 분들도 있지만..) 남성들에게 시계는 대단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패션 아이템입니다.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여성용 럭셔리 시계 시장을 노리는건 얼핏 무모한 전략으로도 보입니다. 3. 전면 디자인 패션으로서의 애플 워치는 이런 모습 또 한가지 디자인적 문제점이 있습니다. 바로 "꺼진 화면"입니다. 애플 워치 또한 스마트 워치이기 때문에 전력을 아끼기 위해, 또는 아몰레드 화면 보호를 위해 화면을 꺼두어야 ...

iOS7, 고정관념을 깬 놀라운 디자인 해결법

iOS7 디자인 공개 WWMC2013에서 iOS7의 디자인이 드디도 공개되었습니다. 출시전부터 큰 디자인 변화를 예고해왔었는데, '흑백의 디자인이 될것이다' 라는 말이 나왔었습니다. 그래서 프라다폰의 디자인과 비슷한거 아니냐, 라는 예상을 하시는 분들도 꽤 있었습니다. 프라다의 UI디자인 이 디자인이 모던하긴하지만, 색이 없어 너무 단조롭다는 문제점과, 또한 아이덴티티가 강하기 때문에 표절이 되는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상당히 들었습니다. 과연 색을 포기할 수 있을까? 라고 생각했는데, 애플은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했네요. 바로 흑백으로 UI를 디자인하는대신 배경에 blur를 넣어서 해결했습니다. iOS7 디자인 개념 이 디자인이 놀라운 점은, 기존 프라다의 UI가 가졌던 한계를 극복했다는 것입니다. 단지 색이 들어가서 이쁘게 보인다는 점 외에도, 디자인 요소로서 검정색과 흰색을 모두 사용할수 있게 했다는 묘수가 있습니다. 컬러배경이 없다면 이런 문제가 생긴다 배경을 흰색으로 한다면, 아이콘이나 기타 UI를 흰색으로 칠할 수가 없게됩니다. 반대로 배경이 검정색이라면 검정색을 디자인 요소로 사용할 수가 없게 됩니다. 배경에 색을 넣으면 된다는 해결책은 얼핏 쉬워 보이지만, 그렇지가 않습니다. 이유는 가독성, 명시성 때문입니다. 실제로 컬러 배경을 배치한것은, 명도 대비측면에서는 회색배경을 설치한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집니다. 이것은, 흰색과 검정색을 모두 디자인 요소로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명암의 대비효과는 당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어, 눈으로 UI요소를 구분하기가 조금 어려워지게 됩니다. 명시성이 떨어지는것은 텍스트에 있어서는 가독성또한 떨어트리는 결과로 나타납니다. 게다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blur배경으로 명시성이 더욱 떨어진다 iOS7의 경우는, 단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단색 배경을 깔은 것이 아니라 아이콘이 있는 배경을 ...

타블렛에게 OS 독립이 필요한 이유

8.0이 추가된 갤럭시 노트 시리즈 MWC에서 갤럭시 노트8.0이 공개되었습니다. 제품 자체에 대한 프리뷰들이 이미 여러군데서 나오고 있는데, 기대했던 정도 혹은 낮은 PPI등 약간 아쉬운 부분들이 있는 모습니다. The Verge 의 preview : http://www.theverge.com/2013/2/23/4021698/samsung-galaxy-note-8-0-hands-on-preview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PPI등의 문제보다 더 큰 것이 있습니다. 삼성이 놓치고 있는것인지 아니면 미루고 있는것이지는 모르겠지만 슬슬 타블렛 분야에서 전략적인 변화를 꾀해야할 시점에 너무 무난한 신제품을 내놓은 것이 약간 방심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느낌을 받아서 거기에 대한 이야기를 써볼까합니다. 또한 이 얘기는 타블렛 시장 자체에 대한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 아직 나오지않은 '혁신'적인 타블렛 완전히 새로운 제품은 아니었던 아이폰 예전 포스팅에서 잠깐 언급한 적이 있는데,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근본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아이폰은 기존에 있던 휴대폰을 개선한 제품이라는 것이고 아이패드는 완전히 새로운 제품이라는 차이입니다. 즉 아이폰은 '혁신'의 제품이고, 아이패드는 '개척'의 제품입니다. 개척을 위한 제품이라는 것은 대담한 것이라는 의미도 되지만, 그만큼 현실과의 괴리가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필요로해서 타블렛을 만난것이 아니라, 잡스가 타블렛을 밀어붙여서 받아들인 측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의 느낌으로는 아이폰이란 것이 아이패드의 발목을 크게 잡는 일이 발생했는데, 잡스는 처음에 이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타블렛은 과연 모바일 기기 일까? 모바일 위젯 4개, 이게 최선일까? 아이패드가 발표되기 전에 이미 아이폰이 거대한 성공을 거두면서, IT환경은 모바일 환경으로 급속도로 최적화가 진행되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