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디스플레이에 레티나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익히 알려졌다시피 사람의 눈이 가려낼 수 있는 최소한의 도트크기를 구현했다는 것에 있었습니다. 이것은 갑자기 튀어나온 주장은 아니고, 실제 인쇄물의 디자인을 할때의 표준인 300dpi (dots per inch) 를 근거로 했던 것이죠. 그런데 몇가지 간과했거나, 아니면 레티나라는 이름의 마케팅을 위해 가려졌던 문제점이 몇가지 있어서 짚어보고자 합니다. 1. 도트와 픽셀의 모양 특성 차이 인쇄물의 도트와 디스플레이의 픽셀에는 모양의 차이가 있습니다. 종이에 떨어진 작은 잉크 덩어리를 말하는 것인데, 당연한 것이지만 동그란 모양을 만듭니다. 처음부터 둥근 형태를 띄고 있기에 당연히 곡선의 처리에서 유리하게 됩니다. 2. 인쇄물의 도트 크기는 고정되지 않음 인쇄물의 도트의 크기는 고정되지 않았습니다. 예를들면 회색을 표현할때, 디스플레이에서는 회색의 픽셀을 채워넣지만, 인쇄물에서는 작은 크기의 검정색 점을 찍습니다. 그래서 폰트의 곡선등에서 발생하는 회색의 각진 픽셀이 일으키는 알리아싱 효과를 인쇄물에서는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3. 인쇄물은 한 자리에 여러개의 점을 겹쳐 찍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픽셀은 한가지의 색이 정해지면 그 색 하나만 화면에 찍어내지만, 인쇄물은 한 자리에 잉크를 여러번 떨어트리는게 가능합니다. 예를들면 작은 검정색을 찍고, 그 위에 큰 노란색점을 찍고, 또 중간 크기 빨간색 점을 찍고 하는게 가능합니다. 프린터는 이런 특성을 최대한 이용해서 도트와 도트 사이의 연결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어 낼 수가 있습니다. 4. 300dpi는 사진의 기준이지, 텍스트의 기준은 아니다. 300dpi 텍스트 품질 1200 dpi 텍스트 품질 사실 300dpi로도 인쇄물은 충분한 가독성을 내줍니다만, 300dpi라는 수치가 사진의 기준으로 만들어졌다는 느낌이 다소 있습니다. 물론 점의 모양이나 겹쳐찍기등 아나로그적인 특성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