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혁신인 게시물 표시

구글 글래스가 혁신이 될 수 없는 5가지 이유

구글 글래스가 언론에 노출되는 횟수가 점점 많아지면서 기대감을 높여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 소식들을 종합한 결과는 그렇게 밝지만은 않아 보입니다. 눈에 끼우는 안경형 컴퓨터 따위를 인류는 바라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고, 그런 사람들을 변화를 싫어하는 보수주의자로 몰아가는 사람들도 있더군요. 저도 그 문제에 관해 상당히 생각해봤는데, 생각을 하면 할수록 정말로 성공할 수 없는 이유가 몇가지 있는 것을 발견하여 5가지로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1. 더 불편해진 인터페이스 첫째는 인터페이스의 문제입니다. 스마트폰의 터치 인터페이스는 기존 피쳐폰의 키패드에 가변성을 덧붙인것이었습니다. 고정된 버튼이 가지는 공간적 제약을 없애면서 활용의 폭을 넓힌 것입니다. 기존에 할 수 있었던 것을 모두 포괄하면서 추가적인 활용성을 만들어낸 명백한 발전이었습니다. 그런데 구글 글래스의 음성 인터페이스의 경우 인터페이스로서의 활용의 폭이 스마트폰보다 확연히 줄어들어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선 안되지만 구글 글래스에선 되는것은 아주 적은 반면, 그 반대의 케이스는 수도없이 많기 때문에 발전이라고 부를 수가 없는 것입니다. 또한 음성 인터페이스의 선호도가 낮은것도 커다란 문제입니다. 음성 신호는 잘못된 명령 전달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킵니다. 인터페이스로서의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말을 한다는것은 상당한 수준의 열량을 소모하기도 합니다. 이미 시리의 사용빈도가 별로 높지 않다는것은 널리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물론, 손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것, 휴대폰을 꺼내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것, 또한 눈앞에 바로 화면이 떠서 디스플레이를 바라보지 않아도 된다는것은 구글 글래스 인터페이스의 장점입니다. 하지만 그것들은 불편함을 조금 덜어준 작은 어드밴티지에 불과할 뿐, 할 수 없는것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수준은 아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나아졌다고 말하기는 어려운듯합니다. 2. 대체할 기능적 대상이 없다 ...

아이폰5 이미지의 심각한 균열, 맵 서비스

삼성이 상당히 좋아할만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아이폰5의 맵서비스, 정확히 말하면 iOS6의 맵서비스, 이것이 정말 대단히 엉망이라고 합니다. 이 iOS6의 문제가 되는 맵서비스를 조롱하는 글들이 해외에 많이 올라오고 있는데, 이건 단지 조롱이라고 할 수준이 아닌것 같습니다. 일단 사진을 몇장 가져왔습니다. iOS6 맵서비스의 지구 모습 http://theamazingios6maps.tumblr.com/ 여기에 더 많은 사진들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여러가지로 애플을 조롱하는 일이 많았지만,  사실 눈이 번쩍 뜨일만한 새로운 도전같은게 없었을 뿐 제품 자체의 완성도가 아주 좋아서 기존 아이폰 유저들이 업그레이드하기에는 아주 적절한 제품이었습니다. 아이폰5가 조롱받아왔던 여러가지 단점들과,  윈도우폰이 새로 등장하는 등 시장상황이 점점 어려워짐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다 덮을 수 있었던것은 "어쨌든 제일 좋은폰" 이라는 사실 하나였습니다. 물론 갤럭시S3도 좋은 폰이지만 아이폰은 아이폰이니까요. 그러나 이렇게 단점이 커버된다는 것은, 단점이 다 사라져 버린다는 뜻은 절대로 아닙니다. "그래도 아이폰"이라는 굉장한 장점으로 가릴수 있었던 단점들은, 언제든지 작은 균열을 빌미로 쏟아져 나올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맵서비스의 문제는 NFC나 배터리등의 문제와 달리 실제로 균열을 만들어낼 수가 있습니다. 왜냐면 첫째로 이것은 "전에는 전혀 없었던 문제" 라는 것. 즉 아주 신선하기 때문에 예상치못한 불편함이고 이것이 굉장한 짜증으로 돌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둘째로 "기존 아이폰 유저들이 iOS6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는 것" 멋모르고 iOS가 업데이트 되었다길래 업그레이드한 아이폰 유저들은 갑작스럽게 잘 보이던 지역정보가 엉망으로 나오는걸 보면서 황당해할것입니다. 이 심각함은 아이폰5의 초기 판매 예측을 보...

아이폰5에 숨겨진 애플의 생존 전략

아이폰5가 정식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전번 포스팅이 무색하게도 빅 서프라이즈는 없었습니다. 외국이나 우리나라나 사람들이 참 많이도 비웃고 있는것 같습니다. 저 또한 갤럭시S3유저로서 너무 좋게 나오지 않아서 다행이다.. 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핸즈-온 비디오나 뉴스등을 접하고, 스스로도 여러번 뜯어본 결과 역시 아이폰은 아이폰이구나. 라고 느끼는 점들이 보이더군요. 그러면서 애플이 왜 아이폰을 이렇게 만들 수 밖에 없었는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이야기하기 전에, 인터넷에 이런게 있더라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웃기기도 하지만 사람들이 아이폰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왜 애플은 아이폰을 길게 만들었을까요? 길쭉한 형태의 디자인  왜  애플은 크게 늘리는 대신 길게 늘렸을까?        물론 애플의 설명대로 한손으로 조작하기 편하게 가로를 고정하되, 화면은 키우기 위해서 위로 길게 늘렸을 것입니다. 그러나 처음 이 디자인을 본 사람들은 대부분 "안 예쁘다" 라는 평을 했습니다.  디자인에 목숨을 거는 애플이 대체 왜 안 예쁜 디자인을 택했을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것은 안 예쁜 디자인이라기 보다는, 익숙하지 않은 디자인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사람들은 가로 세로 비율이 안예쁘다고 말하지만, 그건 황금비율에 기반한 생각같습니다. 하지만 황금비율의 법칙은, 비율이 1: 1.618 일때 가장 "안정적"으로 보인다는 것이지, 미적으로 뛰어나다는 것을 말하진 않습니다.  저의 생각으로는, 애플의 디자이너 조나단 아이브 는 아마도 " 전화기 디자인의 원형" 을 생각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사진은 아이폰4(S) 아이폰만의 이미지를 차별화시키려는 의도  HTC의 큰화면 스마트폰이 대박이 나고, 갤노트까지 대박...